본문 바로가기
고양이 질병백과

고양이 기생충 질환,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

by koongmom 2025. 5. 2.

고양이 기생충 질환,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


고양이는 깔끔한 성격 덕분에 청결해 보이지만, 외부·내부 기생충에 감염되기 쉬운 동물입니다.
기생충은 고양이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,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.

오늘은 고양이에게 자주 발생하는 기생충 질환의 종류, 감염 경로, 증상,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고양이 기생충 질환의 종류

1. 벼룩 (Flea)

  • 감염 경로: 다른 동물이나 외부 환경(산책, 창문 등)에서 벼룩 옮음
  • 증상: 심한 가려움, 피부염, 빈혈(심할 경우), 털 속 벼룩이나 배설물(검은 점) 발견
  • 치료: 벼룩 구제제(목걸이, 스팟온, 약욕), 환경 소독

2. 진드기 (Tick)

  • 감염 경로: 야외 활동 시 풀밭, 다른 동물 접촉
  • 증상: 피부에 딱딱하게 붙어 있는 진드기, 고열, 빈혈, 무기력
  • 치료: 진드기 제거, 예방약 사용

3. 옴 진드기 / 귀 진드기 (Mite / Ear Mite)

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고양이와 접촉
  • 증상: 귀를 심하게 긁음, 귀지 증가(검은색), 머리 흔들기, 이차 감염
  • 치료: 귀 세정 및 살충제 점안, 스팟온 약물

4. 회충 (Roundworm)

  • 감염 경로: 오염된 토양, 감염된 먹이 섭취, 모체로부터 수직 감염
  • 증상: 구토(구토물에 벌레), 설사, 복부 팽창(배가 빵빵해짐), 체중 감소
  • 치료: 구충제 투약(정기적인 예방 필수)

5. 촌충 (Tapeworm)

  • 감염 경로: 벼룩 섭취를 통해 간접 감염
  • 증상: 항문 주변에 쌀알 모양의 촌충 조각 발견, 항문을 바닥에 비빔
  • 치료: 촌충 특이 구충제 사용, 벼룩 예방 병행

6. 편모충증 (Giardiasis)

  • 감염 경로: 오염된 물, 음식, 다른 고양이와의 접촉
  • 증상: 악취 심한 설사, 체중 감소, 무기력
  • 치료: 항원 치료제 처방(메트로니다졸 등)

7. 톡소플라스마증 (Toxoplasmosis)

  • 감염 경로: 감염된 고기 섭취, 오염된 배설물 접촉
  • 증상: 대부분 무증상이지만, 면역력 약한 경우 고열, 무기력, 호흡 곤란
  • 치료: 항생제 치료, 감염 예방이 핵심

고양이 기생충 질환의 종류


고양이 기생충 질환의 예방 방법

  1. 정기적인 구충제 투약: 실내 고양이도 3~6개월마다 내부 기생충 예방 필요
  2. 벼룩·진드기 예방약 사용: 팟온 타입, 목걸이 타입 등 월 1회 사용 추천
  3. 청결한 환경 유지: 침구, 캣타워, 화장실 등 주기적으로 소독과 세탁
  4. 생식(날고기) 급여 주의: 분히 조리된 음식을 급여해 톡소플라스마 예방
  5. 야외 활동 제한: 실외 고양이 또는 산책하는 고양이는 감염 위험이 훨씬 높음
  6. 다른 동물과의 접촉 관리: 새로 입양하는 경우 철저히 격리하고 건강 체크
  7. 정기적인 건강검진: 소변, 대변 검사로 조기 발견 가능 특히 어린 고양이나 노령묘는 더욱 세심한 관리 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