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고양이 질병백과

고양이 운동기계 질환,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

by koongmom 2025. 4. 25.

고양이 운동기계 질환,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


고양이는 유연한 근육과 튼튼한 뼈대를 가진 우아한 움직임의 달인입니다.
하지만 뼈, 관절, 근육, 인대 등의 운동기계에 문제가 생기면, 고양이의 움직임은 크게 제한되고 통증, 절뚝거림, 활동 저하 등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

오늘은 고양이에게 자주 발생하는 운동기계 질환의 종류, 원인, 증상, 예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고양이 운동기계 질환의 종류

1. 관절염 (Arthritis)

  • 원인: 노화, 외상, 비만, 선천적 기형 등
  • 증상: 움직임 꺼림, 높은 곳 점프 회피, 절뚝거림, 통증에 민감함, 공격성 증가
  • 치료: 소염제, 관절 보조제(글루코사민, 콘드로이틴), 체중 관리, 물리치료

2. 고관절 이형성증 (Hip Dysplasia)

  • 원인: 유전적 요인, 성장기 부적절한 영양
  • 증상: 뒷다리 약화, 걷기 불편, 점프 회피, 앉을 때 자세 불균형
  • 치료: 약물 요법, 운동 조절, 수술(심할 경우 인공 고관절 수술)

3. 골절 / 탈구 (Fractures / Dislocations)

  • 원인: 낙상, 외부 충돌, 사고
  • 증상: 특정 부위 통증, 걷지 않음, 비정상적인 자세, 울음소리
  • 치료: X-ray 진단 후 고정, 수술 필요시 핀 고정술 시행

4. 근육 손상 / 염좌 (Muscle Strain / Sprain)

  • 원인: 갑작스러운 점프, 높은 곳에서의 낙하
  • 증상: 특정 움직임 회피, 근육 부위 촉진 시 통증
  • 치료: 휴식, 온찜질, 필요시 진통제

5. 슬개골 탈구 (Patellar Luxation)

  • 원인: 선천적 기형, 유전
  • 증상: 무릎이 빠지는 듯한 걸음, 갑작스런 다리 들기
  • 치료: 경미한 경우 운동 조절, 심한 경우 외과적 수술 필요

6. 골관절이형성증 / 성장판 이상

  • 원인: 성장기 영양 불균형, 유전
  • 증상: 다리 길이 불균형, 통증, 절뚝거림
  • 치료: 조기 발견 시 성장기 조절, 교정 수술 필요 가능

고양이 운동기계 질환의 종류


고양이 운동기계 질환의 예방 방법

  1. 비만 예방과 체중 조절: 과체중은 관절에 큰 부담을 줍니다. 하루 급여량을 관리하고 간식은 제한하세요.
  2. 적절한 운동 유도: 규칙적인 놀이와 점프 활동은 근육 발달과 관절 유연성을 유지시킵니다.
  3. 안전한 실내 환경 조성: 낙상 방지를 위해 캣타워 주변에 미끄럼 방지 패드나 쿠션을 설치하고, 고양이의 연령에 맞는 점프 높이 조절이 필요합니다.
  4. 관절 보조제 활용: 노령묘 또는 유전 질환 위험이 있는 고양이는 조기부터 관절 건강 보조제를 활용하는 것이 좋습니다.
  5. 정기적인 건강 검진: 조기 진단으로 수술 없이 관리할 수 있는 질환도 많습니다. X-ray, 촉진 검사, 움직임 평가 등을 수의사와 함께 정기적으로 확인하세요.